🔹 드라마 속 가슴 먹먹한 순간, 애순이의 '개점복' 시
안녕하세요, 글로리아예요 😊 요즘 화제의 드라마 《폭싹 속았수다》 보셨나요? 그 속에서 애순이가 쓴 시 '개점복'이 정말 많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울리고 있어요. 저도 이 장면 보고 눈물이 핑 돌더라고요.
이 시는 단순한 동시가 아니라, 어린 애순이가 해녀로 고된 삶을 살아가는 엄마를 보며 느낀 마음을 솔직하게 담아낸 진심 그 자체예요. 오늘은 이 '개점복' 시를 함께 읽어보고, 그 안에 담긴 의미를 천천히 나눠보려고 해요.
📝 오애순의 '개점복' 시 전문
<개점복>
오애순
허구언날 점복 점복 태풍와도 점복 점복 딸 보다도 점보 점복
꼬루룩 들어가면 빨리나 나오지 어째 까무룩 소식이 없소 점복 못봐 안 나오나 숨이 딸려 못 나오나
똘래미 속다 타다룩 내 어망 속 태우는 고 놈의 개점복 점복 팔아 버는 백환 내가 주고 어망 하루를 사고 싶네
허리아픈 울어망 콜록대는 울어망 백환에 하루씩만 어망 쉬게 하고 싶네
🔍 '개점복' 시의 의미
이 시는 어린 딸 애순이의 시선으로 엄마의 삶을 바라보며, 마음속 깊은 슬픔과 안타까움을 전하고 있어요.
✔️ "허구언날 점복 점복 / 태풍와도 점복 점복 / 딸 보다도 점보 점복" → 해녀인 엄마는 비가 오나 태풍이 부나 늘 바다에 나가 전복을 따요. 어린 딸보다도 전복이 먼저인 삶, 그 현실이 슬프게 다가오죠.
✔️ "꼬루룩 들어가면 빨리나 나오지 / 어째 까무룩 소식이 없소" → 물속으로 들어간 엄마가 너무 오래 안 나오면 혹시 무슨 일 생긴 건 아닐까, 애순이의 불안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대목이에요.
✔️ "점복 팔아 버는 백환 / 내가 주고 어망 하루를 사고 싶네" → 애순이는 전복을 팔아 번 돈으로 엄마가 하루라도 쉬었으면 해요. 너무 순수하고 간절한 마음이죠.
✔️ "허리아픈 울어망 / 콜록대는 울어망 / 백환에 하루씩만 / 어망 쉬게 하고 싶네" → 여기서 어망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, 엄마의 몸이자 삶 자체예요. 아픈 엄마에게 하루라도 휴식을 주고 싶은 딸의 마음이 너무 애틋하죠.
🎬 드라마 속 감정이 더해진 시의 울림
《폭싹 속았수다》에서 이 장면은 그저 감성적인 연출을 넘어, 제주 해녀들의 현실과 가족의 무게를 제대로 보여주는 중요한 순간이에요. 애순이는 단순한 아이라는 틀을 넘어서, 가족의 생계를 이해하고 감당하는 인물로 그려져요. 그래서 시 한 편이지만, 그 안에는 한 가정의 삶이 그대로 담겨 있어요.
😭 우리가 이 시에서 느낀 감정들
✔️ 순수한 단어들로 전하는 깊은 감정 ✔️ 해녀로 살아가는 현실의 고됨 ✔️ 어린아이의 간절한 바람
짧고 담백한 시지만, 마음에 오래 남는 울림이 있었어요. 이게 바로 《폭싹 속았수다》가 가진 힘이겠죠.
💬 여러분은 이 시를 읽고 어떤 느낌이 드셨나요? 엄마의 희생을 바라보는 딸의 마음, 그 따뜻한 시선이 우리를 다시 한 번 돌아보게 해줍니다.
댓글로 여러분의 감상도 함께 나눠주세요! 😊
#폭싹속았수다 #개점복 #오애순 #개점복시 #제주해녀 #해녀의삶 #전복채취 #드라마명장면 #해녀문화 #제주도바다 #제주도여행 #감성시 #가슴먹먹한시 #한국드라마 #명대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