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~ 요즘처럼 환경이 중요한 시대에, 버려진 쓰레기가 어떻게 '보물'로 다시 태어나는지 알려드리는 블로거입니다😊 오늘은 EBS 극한직업 '쓰레기에서 찾은 보물 – 폐타이어 편' 내용을 중심으로, 우리가 평소 무심코 지나쳤던 ‘폐타이어’의 놀라운 변신 과정을 소개할게요.
🛞 폐타이어, 매일 5톤씩 ‘가루’가 됩니다?
극한직업 제작진이 찾은 이곳은 하루에 약 5톤의 폐타이어를 처리하는 재활용 공장입니다. 폐타이어는 무게가 한 개당 약 50kg. 하루 약 400개 가까운 타이어가 이곳으로 모입니다.
처리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고, 힘도 많이 드는 현장이에요.
🔧 주요 작업 순서
- 폐타이어 수집 및 운반
- 타이어 속 철심 분리 작업
- 고무 파쇄기 투입 → 중간 크기 분쇄
- 미세 분쇄기 통해 ‘미분 가루’로 재가공
- 자석 등을 이용한 철 제거 및 순도 정제
이렇게 가공된 고무는 아스팔트 포장용 골재, 바닥재, 산업용 고무칩 등으로 재활용되며, 환경 보호와 자원 순환의 핵심 자원이 됩니다.
⚙️ 작업자의 하루, 그야말로 ‘전투’입니다
- 검은 고무 가루가 가득 날리는 환경
- 온도와 습도가 높은 작업장 내부
- 폐타이어 내부 철심 제거는 상당한 근력이 필요
▶️ 이 과정에서 나오는 철심 무게만 해도 하루 4~5톤에 달한다고 합니다.
고된 환경 속에서도 작업자들은 분리기, 분쇄기, 자석기계를 번갈아가며 한 치의 오차 없이 폐타이어를 처리해냅니다.
🧪 단단한 고무도 결국 ‘가루’가 된다… 미분 과정 공개
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는 바로 폐타이어가 ‘0mm에 가까운 고운 가루’로 변신하는 과정이었습니다.
- 중간 분쇄: 1~3cm 고무 조각 생산
- 고속 회전 미세 분쇄기 투입 → 가루화
- 자력 선별 → 철심 제거
- 입도 조절 → 산업용 등급 맞춤 조정
이 과정을 통해 나온 ‘고무분말’은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첨가물, 운동장 탄성포장, 인조잔디 충진재 등으로 사용됩니다.
🍶 함께 처리되는 유리병 재활용 작업도 ‘극한’
이날 촬영된 또 다른 재활용 대상은 유리병입니다. 깨진 병, 화장품 병, 도자기 병 등 종류도 다양하고, 상태도 제각각이죠.
-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올라온 유리병
- 사람 손으로 빠르게 골라내는 ‘수작업 분류’
- 깨진 조각으로 인한 손 부상도 흔한 일
👀 도자기, 플라스틱, 라벨 등 이물질이 함께 섞여 있으면 분리 작업은 더 힘들어집니다. 장갑을 두 개씩 껴도 유리조각에 손을 베이는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하네요.
📊 그렇다면 폐타이어 재활용이 왜 중요할까?
- 🔥 소각 시 유해물질 다량 발생
- 벤젠, 다이옥신 등 인체 유해 물질 포함
- 🏗️ 아스팔트용 고무칩으로 대체 가능
- 폐타이어 가루를 활용하면 내구성↑, 소음↓
- ♻️ 폐기물 매립 공간 감소
- 자원 순환 구조로 환경 부담 감소
- 💰 경제적 가치도 높음
- 산업용 고무칩 시장 성장세, 1톤당 수십만 원 가치
📌 출처
- EBS 극한직업 <쓰레기에서 찾은 보물 – 폐타이어, 유리병 편>
- 환경부 폐기물 자원순환 정책 자료
- 한국건설자재협회 고무칩 아스팔트 연구 보고서
👋 마무리 인사
폐타이어는 단순히 버려지는 쓰레기가 아니라, 가치 있는 산업 자원입니다.
오늘도 묵묵히 현장에서 땀 흘리는 분들 덕분에 우리 사회는 한 발 더 ‘지속가능성’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 같아요.
다음엔 폐비닐, 우유팩 같은 재활용 자원에 대한 내용도 정리해드릴게요. 감사합니다😊
🏷️ 태그 #극한직업 #폐타이어재활용 #재활용공장 #환경다큐 #폐고무활용 #고무가루 #유리병재활용 #아스팔트골재 #자원순환 #EBS다큐 #탄소중립현장 #폐기물재활용